금융용어사전

어려운 금융 용어의 뜻을 확인해보세요.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가이아-X

Gaia-X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의 데이터 생태계 구축 프로젝트.

미국과 중국의 거대 IT기업 주도의 데이터 생태계에 대응하기 위해 독일을 중심으로 유럽이 데이터 주권(data sovereignty)과 자결권 확보를 위해 2019년 착수한 프로젝트다. (2020년말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 점유율 : Amazon Web Services 47.8%, Microsoft Azure 15.5%, Alibaba 7.7%, Google 4%, IBM 1.8%)

유럽 각국 정부뿐 아니라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기업, 그리고 클라우드 응용 서비스를 이용하는 중소기업들이 함께 참여하는 다국적 초거대 프로젝트다. 가장 중요한 것은 개인정보의 보호와 활용에 대한 유럽의 가치와 원칙을 반영한 새로운 클라우드 플랫폼을 구현하는 것으로
데이터 상호연계에 필요한 규칙과 기술 인프라 구축을 통해 국제 표준화를 추진한다.

한국은 2021년 11월 4일 독일연방경제에너지부(BMW1)와 비 유럽연합(EU) 국가 최초로 한국에 ‘가이아엑스 허브’ 설치협약을 체결했다.

협약 체결으로 중소기업이 제조데이터를 거래하거나 활용할 경우 특정 국가나 특정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도록 우리나라도 EU의 가이아엑스에 본격적으로 참여하게 된다.

‘가이아엑스 허브’는 각 국가의 기업이나 기관이 가이아엑스 관련 기술을 개발하거나 사용자 의견 수렴 시 협회와 창구 역할을 수행하는 조직으로 유럽 16개국에 설립됐으며 국가별로 1개 허브만 설치가 가능하다.
한국 허브 설치는 유럽연합(EU)가 아시아 허브 국가로서 한국의 제조혁신역량을 높이 평가한 의미 있는 성과로 비유럽연합(EU) 국가로는 최초이며, 중기부의 스마트제조혁신 총괄기관인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내에 설치된다.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안전운임제

시멘트, 레미콘, 컨테이너 등의 화물차주가 지급받는 최소한의 운임을 공표해 이들의 적정 임금을 보장하도록 하는 제도. 화물운송업계의 최저임금제라고 볼 수 있다. 이를 어긴 화주에게는 과태료 500만원이 부과된다.

기사의 과로와 과속, 과적 운행을 막는다는 취지로 문재인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이 '표준운임제'라는 이름으로 도입했다.
2017년 '안전운임제'로 명칭을 변경했고 2018년 3월 민주당 주도로 법안이 통과됐고, 2020년 안전운임제가 시행됐다. 당시 통과된 개정법은 2022년까지 한시적으로 이 제도를 운용하고, 이후 종료시키는 일몰제를 적용했다.
이에 따라 원래는 2023년 부터는 제도가 없어질 예정이지만 화물연대는 제도가 시행될 때부터 일몰제 폐지를 요구했다.

화물연대는 안전운임제 종료를 6개월 앞둔 2022년 6월 총파업에 돌입해 일몰제 폐지와 적용 대상 확대, 운송료 인상 등을 정부에 요구했었다. 정부와 화물연대는 안전운임제를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데 합의하며 파업은 8일 만에 종료됐다. 정부·여당은 ‘안전운임제 3년 연장’을 타협안으로 제시했지만 화물연대는 일몰제 폐지를 주장하며 분쟁의 불씨를 남겼다.

화물연대는 2022년 11월 24일부터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했다. 안전운임제를 영구화하는 것은 물론 현재 수출입 컨테이너, 시멘트에만 적용되는 안전운임제 대상 품목을 철강·유조·자동차 등으로도 확대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누리호2차발사

2022년 6월 21일 발사에 성공한 한국형발사체(KSLV-S).

누리호는 당일 오후 3시59분59초에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이륙해 약 16분간 정상 비행한 끝에 700㎞ 고도에 큐브샛 4개를 담은 실용위성을 올려놓는 데 성공했다. 1993년 6월 한국 최초의 과학 로켓인 KSR-Ⅰ이 발사된 지 30년 만에 이룬 쾌거다. 대한민국은 이로써 세계 7번째로 1톤(t) 이상인 실용적 규모의 인공위성을 우주 발사체에 실어 자체 기술로 쏘아올린 우주 강국의 반열에 올랐다.

2021년 10월 21일 누리호1차 발사가 이루어 졌는데, 이때 누리호 1차는 성공적으로 고도 700km 진입에는 성공했으나 3단 엔진에서 산화제가 누출되면서 계획보다 46초 일찍 연소를 마쳐 위성모사체를 궤도에 올려놓는 데에는 실패했다.

2차 발사에서는 2021년 10월 21일 1차 발사와 달리 1.3t짜리 위성 모사체와 함께 우주기술 시험 등 실제 기능을 지닌 성능검증위성(큐브위성 포함 질량 162.5kg)이 실렸다.

성능검증위성은 누리호의 발사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특별히 제작된 위성으로 임무 수명은 2년이다. 개발은 국내 위성통신 단말기 제조업체인 AP위성이 담당했다.

성능검증위성은 누리호의 3단 연소가 끝나고 목표 비행속도인 초속 7.5㎞ 달성에 성공한 뒤 사출(분리)돼 나와, 이후 내장된 자동 운영 프로그램에 의해 가동을 시작했다.

성능검증위성은 이후 큐브위성 모사체도 내보내, 성능검증위성에 설치된 5개의 큐브위성 사출 발사관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시험을 마무리한다.

성능검증위성은 마지막 임무로 국내에서 개발한 우주핵심기술이 담긴 기기들을 실제 우주 환경에서 검증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들 기기는 온도 차를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는 발열전지(ETG), 자세 제어용 구동기(CMG, 제어모멘트자이로), 성능검증위성에 명령을 전송하는 S-band 안테나(SHA) 등이다.

이들 기기의 성능을 본격적으로 검증하는 절차는 7월 중에 이뤄질 예정이다. 성능이 확인된 기기는 이후 예정된 달탐사개발사업 등 미래 우주 사업에 다시 사용될 계획이다.

실제 작동하는 인공위성인 성능검증위성은 조선대, KAIST, 서울대, 연세대 학생팀이 각각 하나씩 제작한 초소형 '큐브위성' 4개와, 큐브위성 모사체(더미 큐브위성) 1개도 품고 있다.

<>큐브위성과 모사체
큐브위성은 간단한 임무를 수행하는 초소형 인공위성을 가리킨다.

성능검증위성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분리되는 각 큐브위성은 독자적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조선대 학생팀이 개발한 'STEP Cube Lab-Ⅱ'는 29일 오후 4시 50분께 성공적으로 분리된 뒤 30일 오전 3시 48분께 지상국이 이 큐브위성의 일부 상태정보(비콘신호)를 수신했다.

국내 최초로 전자광학·중적외선·장적외선 카메라를 탑재하고 1년간 지구를 관측하는 임무를 맡는다.

KAIST의 'RANDEV'는 초분광 카메라 지구관측을, 서울대의 'SNUGLITE-Ⅱ'는 정밀 GPS 반송파 신호를 활용한 대기 관측을 한다. 마지막으로 나올 연세대의 'MIMAN'은 한반도와 서해 상공의 미세먼지를 촬영하는 임무를 담당한다.

한편 이와 함께 쏘아 올려진 위성 모사체는 1.3t짜리 알루미늄 덩어리이며, 실제 기능을 갖춘 인공위성은 아니다. 누리호가 설계대로 1.5t 규모의 탑재체를 궤도에 올릴 수 있는지 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교신 등은 하지 않는다.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초소형 모듈 원전

micro modular reactor

차세대 원전 기술인 소형모듈원전(SMR) 중에서도 매우 작은 규모의 원전으로, 혁신 기술로 꼽히는 분야다.

SMR은 원자로의 모든 기기를 하나의 용기에 넣은 모듈형인 소형 원자로다. 일반적으로 발전 용량이 1000㎿e급인 상용 대형 원전에 비해 원전 부지 확보와 안전성, 경제성 측면에서 모두 우수하다.

MMR은 통상 300㎿e 이하인 SMR보다 훨씬 적은 5㎿e급이다. MMR은 모듈러 제작으로 시공 기간이 짧고, 전력망을 갖추지 못한 극지·오지 등에도 설치하기 쉽다. 모듈을 추가 설치하는 방식으로 전력과 열 출력을 더 많이 늘릴 수 있다.

이중 캐나다 초크리버 MMR 실증사업이 4세대 원자로 가운데 상용화에 가장 가까운 지점에 있어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사업에 적용하는 고온가스로(HTGR) 기반의 4세대 원자로는 물을 냉각제로 사용하는 일반 원자로와 달리 헬륨가스, 소듐 등을 사용해 방사능 오염 위험이 적다. 기존 원자로보다 고온의 증기를 생산해 고효율 발전, 수소 생산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2022년 6월 3일 현대엔지니어링이 미국 에너지기업 USNC와 ‘캐나다 초크리버 MMR 실증사업’ 상세설계 계약을 맺었다. 캐나다 초크리버 MMR 실증사업은 현대엔지니어링이 USNC, 캐나다 건설회사 PCL, 캐나다 엔지니어링사 HATCH와 함께 캐나다 온타리오주 초크리버 원자력연구소 부지에 MMR을 짓는 사업이다.

현대엔지니어링과 USNC는 2012년 3월 고온가스로(爐) 기술 개발 협력을 시작해 2016년에는 한국원자력연구원, 미국 국립연구소와 함께 고온가스로 개념설계 및 기본설계를 수행해왔다. 2019년 2월 캐나다 원자력 규제기관의 사전 인허가를 받았고 이번 상세설계 단계를 거치면 2026년 상업운전이 가능할 것이란 설명이다.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다누리

Danuri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이 개발해 2022년 8월 5일 발사한 한국 최초 달 탐사선. 2022년 12월 28일 145일간의 항행 끝에 달 임무궤도 진입에 성공해 한국은 세계에서 일곱번째로 달 탐사선을 운용하는 국가가 됐다. 이 탐사선은 2025년 12월까지 달 관측 임무 등을 수행할 예정이다.

<>제원
총중량 678㎏로 가로·세로·높이 약 2m의 직육면체 모양이다. 태양전지판을 펴면 가로 기준 약 6m까지 커진다. 달의 극지방을 촬영할 수 있는 섀도캠 등 6종의 탐사 장비가 실려 있다.

<발사 및 항행
2016년 1월 달 탐사 사업을 시작한 지 6년7개월 만인 2022년 8월 5일 미국에서 스페이스X 팰컨9 발사체로 발사됐다.

항우연은 달 탐사 궤도로 ‘탄도 달 전이(BLT)’ 방식을 채택했다. BLT 방식은 지구-달-태양 간 중력을 최대한 이용해 최소한의 연료를 쓰면서 비행하는 것을 말한다. 지구에서 바로 달로 가는 ‘직접 전이 방식’에 비해 연료 소모량을 25% 이상 줄일 수 있다.

다누리의 달 전이 과정 및 궤도 진입은 항우연 임무운영센터 관제로 이뤄진다. 임무운영센터는 국내 최초로 구축한 심(深)우주지상안테나 및 미 항공우주국(NASA) 심우주네트워크(DSN)와 연동돼 있다. 경기 여주에 설치된 직경 35m 대형 안테나 등이 포함된 시스템이다.

다누리 발사는 지구의 중력장을 벗어난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그동안 한국의 우주 개발 사업은 지구 중력장 내에서 궤도를 도는 인공위성을 쏘아 올리는 데 그쳤다. 현재까지 러시아 미국 중국 일본 유럽연합 인도가 달 착륙 및 탐사에 성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