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점

귀여우면 다야, MZ 감성을 터치한 글로벌 금융 캐릭터 4화
25.09.22
읽는시간 0

작게

보통

크게

0

○ 캐릭터 마케팅은 ‘원소스멀티유즈(One source multi use)’ 전략에 따라 다양한 매체에 캐릭터 IP를 활용하여 수익 증대와 사업 다각화가 가능


• 금융사 자체 캐릭터는 초기 인지도를 높이고 팬덤을 구축하는 데 시간이 소요되지만, 장기적으로 소비자와 감정적 연결을 강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브랜드 가치 제고를 위한 투자로 접근 가능


• 금융당국이 지주 차원에서 캐릭터 IP의 상업적 활용 방안을 검토 중이며, 추후 국내 금융권의 캐릭터 상업화가 허용되면 다양한 마케팅을 비롯해 그 활용 범위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

○ 금융사 자체 캐릭터와 견고한 팬덤을 보유한 글로벌 캐릭터 IP를 동일선상에 놓고 비교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한계가 존재하나, 글로벌 캐릭터 IP의 성공 사례에 비추어 금융사가 오랫동안 사랑받을 수 있는 캐릭터 개발 방안을 도출


[스토리텔링 부여] 캐릭터가 귀여운 외모뿐 아니라 MZ세대가 열광할 수 있는 정교한 세계관이나 인물 간 서사를 담으며, 금융사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와도 일치해야 함


[스토리텔링 강화] 고객과의 상호작용에서 디지털 매체를 적극 활용하고, 오프라인에서도 유기적 연결을 통해 몰입형 체험을 제공함으로써 캐릭터에 생명력을 불어넣어야 함


[지속적인 리뉴얼] 캐릭터의 수명을 늘리기 위해 트렌드 변화를 반영하여 캐릭터를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야 함. 이 과정에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소비자의 취향과 행동을 면밀히 분석해 고객의 반응을 포착하는 것이 중요

○ 글로벌 금융사는 캐릭터 마케팅의 대상으로 MZ세대뿐 아니라 어린이와 청소년을 포괄하고 고객과의 다양한 접점에서 자체 캐릭터를 폭넓게 활용 중. 이들의 사례를 참고하여 캐릭터 마케팅 강화 방안을 도출


[온·오프라인의 유기적 연결] 온·오프라인 전반에서 캐릭터를 다양한 형태로 변용하여 마케팅 효과를 극대화하고 일관되고 몰입감 있는 고객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캐릭터 인지도를 높이고 팬덤을 구축


-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는 온·오프라인 접점에서 캐릭터를 지속적으로 노출


- 경험을 중시하는 MZ세대의 몰입감을 더하기 위해 스폰서십 행사에서 캐릭터를 활용한 독특한 경험을 제공


[로열티 연계 굿즈] 고객의 소장 욕구를 자극하는 캐릭터 굿즈를 제작하여 앱 활동이나 거래 실적 포인트로 교환해 줌으로써 고객 충성도를 제고


- 소장 욕구를 자극하는 굿즈를 만들기 위해서는 제작 과정에서 고객 의견 반영이 필수적


- MZ세대의 정체성을 대변할 수 있는 굿즈에 대한 고민이 필요. 무무증권의 한정판 플래티넘 무무 체스 시리즈는 위험을 감수하는 고객의 투자 성향을 나이트·비숍 복장을 한 무무 캐릭터 굿즈로 표현


[교육 콘텐츠] 어린이·청소년 대상 교육 콘텐츠 제작 시 캐릭터를 활용하여 교육 효과를 제고하고 친근한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여 장기적인 고객 기반을 마련


- 어린이·청소년의 금융 이해력 제고를 위한 경제금융 교육 콘텐츠(웹툰, 애니메이션, 모바일 게임, 보드게임)에 캐릭터를 활용함으로써 전달력을 높이고 교육 효과를 제고


- 경제금융 교육뿐 아니라 색칠 공부, 만들기 등에도 캐릭터를 활용한 도안을 고려

[참고] 글로벌 금융사의 캐릭터 활용 사례 비교

글로벌 금융사의 캐릭터 활용 사례 비교를 정리한표이다.

참고문헌

<국내 문헌>

조용진, 2011, “국내 금융업계의 캐릭터 개발 및 활용 현황”.

한국콘텐츠진흥원, 2024, “캐릭터산업백서”.

한국콘텐츠진흥원, 2024, “캐릭터 이용자 조사”.

한국콘텐츠진흥원, 2019~2024, “콘텐츠산업백서”.

한국콘텐츠진흥원, 2024, “2024 콘텐츠 IP 거래 현황 조사”.

한국콘텐츠진흥원, 2024, “2024 해외 콘텐츠 시장 분석”.


<해외 문헌>

PWC, 2024, “Global Entertainment & Media Outlook 2024-2028”.

Yang Li, 2025, “How Pop Mart Won Young Customers in a Fragmented Attention

Economy”, Harvard Business Review.


<전자 문헌>

KOTRA dream.kotra.or.kr

※ 본 보고서는 연구자의 개인 의견으로 KB경영연구소 공식 의견과 다를 수 있으며, 인용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