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기] 귀여우면 다야, MZ 감성을 터치한 글로벌 금융 캐릭터

25.09.22
읽는시간 0

작게

보통

크게

0

❑ 캐릭터 마케팅은 고객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감정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감성 마케팅 기법으로 MZ세대가 열광하면서 관련 캐릭터 시장 규모도 성장


• 기업들은 자체 캐릭터를 개발하여 브랜드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소비자와의 유대감을 형성하여 브랜드 충성도를 제고하고자 함


• 2024년 세계 캐릭터 라이선스 시장 규모는 3천4백억 달러로 2022년부터 2027년까지 5년간 연평균4.1% 성장할 것으로 예상

❑ 인기 캐릭터 ‘산리오캐릭터즈’와 ‘라부부’는 MZ세대의 특성(△정체성 표현 △디깅 문화 △경험 중시)을 공략하여 큰 인기를 얻음


• 귀여운 외모뿐 아니라 정교한 세계관을 갖춘 이들 캐릭터는 고객 접점에서 독특한 경험을 제공하여 감정적 유대감을 유발함으로써 MZ세대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음

❑ 글로벌 금융사도 젊은 층 고객의 관심을 사로잡고 친근한 소통을 위해 자체 개발한 캐릭터를 적극 활용


[①SMBC-미도스케] 젊은 층 고객 이탈에 대응하고자 수달을 형상화한 캐릭터 ‘미도스케’를 개발해 스포츠 후원 행사 및 온·오프라인 마케팅에서 전방위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젊은 고객 유치에 성공


[②무무증권·푸투증권-무무] 글로벌 증권 거래 플랫폼 무무증권·푸투증권은 황소를 형상화한 캐릭터 ‘무무’를 마케팅에 활용하고, 거래 포인트로 교환할 수 있는 굿즈를 제공해 해외 진출 시 좋은 성과를 거둠


[③MUFJ니코스-토리] 지난해 젊은 층 고객 확보에 주력하고자 새를 형상화한 캐릭터 ‘토리’를 출시 하였으며 캐릭터 인지도를 높이고 팬덤을 구축하기 위해 흥미 위주의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제작


[④미즈호금융그룹-아오마루] ESG 차원의 경제금융 교육용 캐릭터로 웜뱃을 형상화한 ‘아오마루’를 개발하여 어린이·청소년 마케팅에 활용하고, 최근 ‘헬로키티’와 컬래버해 MZ세대로 대상을 확장


[⑤UBS-톱시] 어린이·청소년 대상으로 여우를 형상화한 캐릭터 ‘톱시’를 트렌드에 따라 외형을 변형해 가며 30년 넘게 사용. 캐릭터 활용 애니메이션, 게임, 색칠 공부 등 다양한 콘텐츠를 무료로 제공

❑ 금융사는 캐릭터 마케팅을 강화하기 위해 △온·오프라인의 유기적 연결 △로열티 연계 굿즈 △교육 콘텐츠 제공 등을 고려할 수 있음


[온·오프라인의 유기적 연결] 스폰서십 행사에서 독특한 경험 제공 등 캐릭터를 다양한 형태로 변용하여 일관되고 몰입감 있는 고객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캐릭터 인지도를 높이고 팬덤을 구축


[로열티 연계 굿즈] MZ세대의 정체성을 대변할 수 있는 캐릭터 굿즈를 제작하여 거래 실적이나 앱 활동 포인트로 교환해 줌으로써 고객 충성도를 제고


[교육 콘텐츠] 어린이·청소년 대상 교육 콘텐츠 제작 시 캐릭터를 활용하여 교육 효과를 제고하고 친근한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여 장기적인 고객 기반을 마련

※ 본 보고서는 연구자의 개인 의견으로 KB경영연구소 공식 의견과 다를 수 있으며, 인용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