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 세대가 열광하는 캐릭터 사례

귀여우면 다야, MZ 감성을 터치한 글로벌 금융 캐릭터 2화
25.09.22
읽는시간 0

작게

보통

크게

0

1. 산리오(헬로키티, 마이멜로디, 시나모롤, 쿠로미 등)

○ 산리오는 일본의 대표적인 캐릭터 ‘헬로키티’를 보유한 글로벌 캐릭터 IP 회사로, 2021년 영업이익이 적자를 기록했으나 이후 반등하여 제2의 전성기를 누리고 있음


• 2024 년 회계연도(2024.4~2025.3) 매출액은 1,449 억 엔(전년 대비 45% 증가), 영업이익은 518 억 엔(전년 대비 92.2% 증가)으로 높은 실적 상승세를 보임


• 헬로키티의 의존도를 낮춘 복수 캐릭터 마케팅이 흑자 전환을 주도했다는 평가

[성공 요인] 정교한 고객 데이터 분석을 바탕으로 몰입형 체험을 선사해 브랜드 가치를 제고함으로써 단순 판매를 넘어 팬덤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


(정교한 데이터 분석) 중국 지역별 고객 데이터를 바탕으로 소비자 취향과 행동을 면밀히 분석해 특정 캐릭터의 인기가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는 흐름을 포착하고 브랜드 전략과 마케팅 타깃을 신속히 조정


- 2024년 ‘마이스윗피아노’의 중국 직영 소매 상품 매출이 전년 대비 3배 이상 증가하는 등 큰 성과를 거둠¹


(캐릭터 IP 확장) 최근 콘텐츠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고 다양한 산업 분야의 브랜드와 협업하여 자사 캐릭터 IP 를 활용한 캐릭터 상품을 개발함으로써 수익 창출에 기여

산리오 실적 추이

'산리오' 실적 추이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자료: 《블룸버그》

K리그 산리오캐릭터즈 성수 팝업스토어

K리그 '산리오캐릭터즈' 성수 팝업스토어의 모습이다.

자료: 한국프로축구연맹

¹ KOTRA 상하이무역관, 2025.5.28, “헬로키티에서 멀티IP로, 중국에서의 산리오 열풍 비결은?”

2. 팝마트(라부부, 크라이베이비 등)

○ 팝마트는 2010년 설립된 중국 최대 규모의 아트토이² 기업으로 2020년 12월 홍콩증권거래소에 상장. 대표 캐릭터인 ‘라부부’ 인형이 전 세계적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희귀 라부부 인형이 2억 원에 낙찰되는 등 아트토이의 고가 리셀 시장이 활성화되면서 주목


• 2024 년 주가가 전년 대비 4 배 이상 상승하고 매출액은 130 억 위안(전년 대비 107% 증가), 영업이익은 39 억 위안(전년 대비 276% 증가)으로 높은 실적 상승세를 보임


- 중국뿐 아니라 동남아시아, 미국, 유럽에서도 큰 인기를 얻으며 해외 오프라인 직영점 130개를 보유

[성공 요인] 제품 경쟁력을 제고하고, 블라인드 마케팅을 통해 반복 구매를 유도하며, 데이터 기반의 타 브랜드 협업 및 인기 셀럽의 SNS 노출로 인지도를 향상


(품질 제고) 글로벌 상위권의 제품 경쟁력을 유지하고 디자인을 강화해 중국 제품의 저가 이미지를 탈피하는 데 성공


(블라인드 마케팅) 구매 전까지 어떤 제품이 들어있는지 알 수 없는 랜덤 피규어 박스를 통해 소비자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기대감을 불러일으킴으로써 반복 구매를 유도


(데이터 중심 접근 방법) 신제품 개발부터 마케팅, 글로벌 전략 수립에 이르기까지 데이터 중심적인 접근 방법에 기반하여 고객의 니즈를 동적으로 포착하고 조직 차원에서 민첩하게 대응


- SNS 마케팅에서 소비자 데이터를 활용하여 자사 제품 인증 게시물의 조회수를 모니터링하고 사용자 참여도가 높은 인형 카테고리를 분류하여 바이럴을 유도

팝마트 실적 추이

'팝마트'의 실적 추이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자료: 《블룸버그》

팝마트 대표 캐릭터 라부부

팝마트의 대표 캐릭터인 '라부부'의 모습이다.

자료: 팝마트

² 일반적인 장난감과는 달리 예술적·디자인적 가치가 결합된 한정판 수집용 피규어 또는 인형을 말함. 디자이너·예술가·일러스트레이터 등이 창작하며, 기능보다는 시각적 표현·세계관·스토리텔링을 중시하는 점이 특징

○ 인기 캐릭터 산리오캐릭터즈와 라부부는 ①정체성 표현 ②디깅(digging) 문화 ③경험 중시로 압축되는 MZ세대의 특성을 공략하여 큰 인기를 얻음


[정체성 표현] 자신에 대해 탐구하고 알아가는 과정을 일종의 놀이처럼 즐기는 MZ 세대는 캐릭터를 자기 가치와 정체성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활용


- ‘태닝 키티’, ‘한정판 라부부’ 등 소장 욕구를 자극하는 캐릭터 키링과 굿즈는 MZ세대 사이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음


[디깅 문화] 고물가에도 MZ 세대는 자신이 가치있다고 생각하는 것에는 돈을 쓰는 데 주저하지 않음


- 이들 캐릭터는 귀여운 외모뿐 아니라 정교한 세계관과 인물 간 서사를 구축하여 소비자의 몰입을 유도


[경험 중시] 제품 구매 시 제품 자체보다 직접 보고 체험하는 과정을 중시


- 기업들은 몰입형 팝업 공간 등 고객 접점에서 체험, 전시 위주의 독특한 경험을 제공하여 소비자와 감정적 유대감을 형성

※ 본 보고서는 연구자의 개인 의견으로 KB경영연구소 공식 의견과 다를 수 있으며, 인용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