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관세 협상 종료와 7월 고용 쇼크로 더 뚜렷해진 경기 둔화
- 미국의 관세 협상이 거의 끝나고 있다. 22일 일본, 28일 유럽연합 (EU), 31일 한국 등과 관세 협상에 합의했고, 중국과는 협상을 90일 유예한다고 밝혔다. 미국에서 부과한 상호 관세율은 15% 수준이나, 추가적으로 미국산 수입을 확대하고 시장 개방과 대규모의 대미 투자 확대가 포함되었다.
한국 역시 미국은 15% 관세율을 부과했고, 자동차와 트럭, 농산물 시장 개방, 미국산 LNG 등 에너지 1천억 달러 매입, 대미 투자 규모는 무려 3,500억 달러에 달했다. 다만, 이에 대한 구체적 내용은 계속 협상 중이다.
- 8월 1일, 미국 노동통계국에서는 7월 고용보고서를 발표했다. 7월 비농업 신규 취업자 수는 7만 3천명으로 예상치 10만명에 못 미쳤다. 더 심각했던 내용은 이전 2개월치가 큰 폭으로 하향 조정된 것이다.
5월과 6월 신규 취업자수 증가 폭은 29만 1천명에서 3만 3천명으로 조정되었으며, 민간 고용과 정부 고용이 모두 큰 폭으로 조정되었다. 실업률은 4.2%이지만, 소수점 셋 째까지 확인하면 4.248%로 4.25%로 볼 수 있다. 또한 7월 ISM 제조업 지수도 49pt에서 48pt로 낮아졌다.
- 국제금융센터 자료에 따르면 미국의 상호관세율 부과로 전세계 경제성장률은 2025년 0.16%p 하락하고, 2026년에는 0.44%p 급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미국 경제의 경우 2025년에 -0.17%p, 2026년에는 무려 -0.54%p 하락한다.
이는 관세 부과로 인해 기업의 비용이 상승하고, 가계의 구매력이 약화되는 부정적 영향, 더욱이 미국은 각국과의 관세 부과로 그 영향 폭은 누적될 것이기 때문이다. 8월 관세 협상이 종료되고 있으나, 하반기에 관세의 부정적 영향은 미국 경제에 더 큰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
- 미국 고용은 추가로 확인될 필요가 있으나, 이번 고용의 큰 폭 하향 조정으로 경기 하강에 대한 우려는 심각해질 수 있다. 고용은 기업의 투자 약화 (수요)를 의미하며, 고용이 약화될 경우 가계의 소득 (근로)이 감소하게 되고, 소비지출 감소로 이어질 것이다.
이미 지난 1분기 미국 실질 개인소비지출 (PCE) 부진이 확인된 바 있어 하반기의 경기 둔화가 예상되며, 연준의 금리인하 시점도 9월 재개될 가능성이 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