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기] KB주택시장 리뷰 2025년 8월호

25.08.14
읽는시간 0

작게

보통

크게

0

요약

◦ 대출 규제 발표 이후 서울을 중심으로 매매가격 상승폭이 빠르게 둔화

  • 6월 27일 대출 규제 발표 이후 전국 주택 매매가격은 상승률이 둔화되고, 서울 강남3구 중심의 가격 상승세도 주춤. KB부동산전망지수도 수도권이 5개월 만에 하락세로 전환되는 등 전반적인 매수 심리는 위축
  • 대출 규제 강화로 매매 대신 전세를 선택하는 수요가 증가하고, 수도권 입주예정물량 감소세가 이어지면서 전세시장 불안이 지속될 가능성

◦ [매매시장] 대출 규제 강화 이후 매매가격 상승폭이 둔화되며 매수심리도 위축

  • (가격) 7월 전국 주택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0.16% 상승한 반면, 서울은 매매가격 상승세가 주춤한 모습
    - 지난 6월 27일 대출 규제 발표 이후 서울 매매가격은 상승률이 둔화(6월 0.93%→7월 0.80%)
    - 6억 원 대출 한도 제한 및 대출 이후 전입 의무화로 고가 아파트가 집중된 서울 강남3구의 가격 상승세가 빠르게 둔화(강남구 6월 3.64%→7월 1.51%, 서초구 6월 3.17%→7월 1.30%, 송파구 6월 3.01%→7월 2.03%)
  • (거래) 6월 전국 주택 매매 거래량은 7만 건을 넘어서며 44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
    - 주택 매매 거래량은 전월 대비 17.8% 증가했으며, 수도권(서울 45.1%, 경기 31.2%)이 증가세를 주도
    - 최근 몇 개월간 주택가격 상승세가 지속되고, 7월 스트레스 DSR 3단계 시행 전에 수요가 집중되면서 거래가 급증. 한편 6월 말 대출 규제 여파로 향후 주택 거래량은 감소할 전망

◦ [전세시장] 전세 수요 증가, 입주물량 감소로 수도권 전세가격 추가 상승 가능성

  • (가격) 7월 전세가격은 수도권(0.15%)이 24개월 연속 상승하고, 비수도권은 6개월 만에 상승 전환
    - 대출 규제 강화로 매수 대신 전세를 선택하는 수요가 증가하고, 수도권 신규 입주예정물량이 감소함(향후 3개월 입주물량은 약 2.3만 호, 전년 대비 56% 수준)에 따라 전세가격 추가 상승 여력이 존재
  • (거래) 6월 전국 주택 전월세 거래량은 아파트 월세 비중이 46.1%로 2021년 6월 조사 이래 최고치를 기록
    - 대출규제로 전세 수요는 증가하나 전세대출 보증한도 축소로 아파트의 반전세 및 월세 전환이 증가

◦ [주택 분양] 비수도권 분양물량 증가, 주택 수요 수도권 집중으로 미분양 우려

  • 7월 전국 아파트 분양물량은 약 2.8만 호로 연초 이후 최고치를 기록. 주택 경기 회복의 여파로 사업 진행이 빨라지면서 하반기에는 공급이 다소 회복될 전망
  • 분양물량 감소와 수도권 경기 회복의 영향으로 6월 전국 미분양 아파트는 약 6.3만 호로 전월 대비 감소

◦ [주택금융] 대출규제 영향으로 주택담보대출 증가폭은 축소(6월 5.1조 원→7월 3.4조 원)

  • 최근 몇 달간 늘어난 주택거래로 주택담보대출 증가세를 유지하나, 6월말 발표된 대출 규제 영향으로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축소되면서 대출 증가폭은 둔화
  • 6월 예금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신규 취급액 기준)는 전월 대비 0.06%p 상승한 3.93%,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32%로 소폭의 상승세를 이어감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