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게
보통
크게
목차
어떤 상품에 저축해야 이자 많이 받을까?
이율 높은 예금, 적금 고르려면?
저축하려면 어떤 상품 가입해야 할까요?
정기예금 금리 높은 곳, 어떻게 찾나요?
금융감독원이 운영하는 ‘금융상품한눈에’에서 예금, 적금 등 금융 상품을 한 번에 비교할 수 있어요.
'금융상품한눈에'에서 정기예금을 선택하고, 저축 기간과 이자 계산 방식 등을 골라 상품을 검색하세요.
적금 금리 높은 곳, 어떻게 찾나요?
적금도 ‘금융상품한눈에’에서 비교할 수 있는데, 적립 방식을 골라야 해요.
입출금자유예금 금리 높은 곳, 어떻게 찾나요?
가입할 은행과 이자 지급 방식, 가입 방식 등을 선택하고 검색하면 돼요.
예금, 적금 차이점
저축하려면 어떤 상품 가입해야 할까요?
금융감독원은 저축 상품을 크게 3가지로 구분하고 있어요.
정기예금 금리 비교, 금리 높은 곳
정기예금 금리 높은 곳, 어떻게 찾나요?
‘금융상품한눈에’에서 정기예금을 선택하고, 저축할 방법을 선택해요.
1. 저축금액 입력: 최대 10억원
2. 저축예정기간 입력: 1~36개월
3. 금융권역 선택
• 은행: KB국민은행 등 시중은행은 제1금융권에 속해요. 예적금 및 대출 등 다양한 업무를 해요.
• 저축은행: 제2금융권에 속하며 주로 서민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예적금, 대출 업무를 해요. 외환 업무나 고액 자산가를 위한 자산관리 서비스 등은 제공하지 않는 경우도 있어요.
• 신협조합: 신용협동조합은 같은 단체나 지역 등 공동의 유대를 가진 사람들이 금융적 도움을 주고받기 위해 만든 비영리 금융기관이에요.
4. 이자 계산 방식 선택
• 단리: 원금에만 이자가 붙어요.
• 복리: 원금에 이자가 붙은 금액에 다시 이자가 붙어요.
5. 지역 선택
6. 가입 대상 선택
• 제한없음: 일반인 대상 상품
• 서민전용: 기초생활수급자 등 서민우대상품으로 상세정보의 가입대상 요건 확인
• 일부제한: 특정인 대상 상품으로 상세정보의 가입대상 요건 확인
7. 가입 방법 선택
영업점, 인터넷, 스마트폰, 모집인, 전화(텔레뱅킹), 기타
8. 우대 조건 선택
비대면 가입, 재예치, 주거래, 첫거래, 연령, 타상품가입·실적
9. 금융상품 검색
금융상품을 검색하면 세전, 세후 이자율이 나와요. 이 이자율은 1년 기준 이자율인데요. 만기 6개월 상품을 선택해도 1년으로 환산된 금리라는 점을 고려해야 해요.
정기적금 금리 비교, 금리 높은 곳
적금 금리 높은 곳, 어떻게 찾나요?
적금 상품도 정기예금과 마찬가지로 ‘금융상품한눈에’에서 비교할 수 있어요. 정기예금과 검색하는 방법은 같은데, 한 가지 차이점은 적립 방식을 골라야 해요.
적금 적립 방식
적립 방식 | 설명 |
정액적립식(정기적금) | 일정 기간 매달 일정한 금액을 저축 |
자유적립식(자유적금) | 금액을 정하지 않고 일정 기간 자유롭게 저축 |
보통예금, 입출금통장, 요구불예금
입출금자유예금 금리 높은 곳, 어떻게 찾나요?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입출금자유예금은 돈을 맡겨두는 기간을 정하지 않고 자유롭게 입출금하는 예금이에요. 보통예금, 입출금통장, 요구불예금이라고도 불러요. 일반 입출금통장보다 금리가 높은 파킹통장도 입출금자유예금의 한 형태예요. 정기예금, 적금은 ‘금융상품한눈에’에서 한 번에 볼 수 있는 반면, 입출금자유예금은 시중은행과 저축은행 상품을 따로 확인해야 해요.
입출금통장 금리 비교, 보통예금 금리 비교
시중은행 입출금자유예금 금리 비교 방법
시중은행의 입출금자유예금 상품 금리는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에서 비교할 수 있어요. 가입할 은행과 이자 지급 방식(수시지급, 월지급 등), 가입 방식(인터넷뱅킹, 전화 등)을 선택하고 검색하면 돼요.
단, 검색 결과에 나온 금리는 세전 금리예요. 또 실제 금리와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가입 전 해당 은행에서 직접 확인하는 게 좋아요.
저축은행 파킹통장 금리 비교
저축은행 입출금자유예금 금리 비교 방법
상호저축은행의 입출금자유예금 상품 금리는 저축은행중앙회 소비자포털에서 비교할 수 있어요. 이자 지급 방식과 가입 방식을 선택하고, 최고금리 기준을 고르면 돼요.
최고금리 기준은 우대조건 및 기타 조건을 충족했을 때 받을 수 있는 최고 금리를 말해요. 최고금리가 높다고 해서 저축하는 금액이 모두 이 금리를 받을 수 있는 건 아니에요. 50만원 이하, 500만원 이하, 5,000만원 이하 등 금액대별로 적용 금리가 다르니, 상세보기를 눌러 조건을 확인하세요.
은행이 영업정지를 당하거나 파산하더라도 나라가 돌려주기로 약속한 금액이 있어요. 이를 예금자 보호 한도라고 해요. 예금과 적금도 예금자 보호 상품이에요.
현재는 원금과 이자를 합해 1인당 금융 기관별로 5천만원까지 보호해주는데요. 9월 1일부터 예금자 보호 한도가 5,000만원에서 1억원으로 늘어날 예정이에요.
오늘은 예금, 적금 등 저축 상품 종류와 금리를 비교하는 방법을 알아봤어요. 나에게 맞는 상품을 찾아 현명하게 저축해봐요. 다음 시간에 만나요!
3줄 요약
이 콘텐츠는 7월 1일 기준으로 작성했습니다. 이 콘텐츠는 금융감독원과 협력해 제작했습니다. 금융감독원 금융상품한눈에,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 저축은행중앙회 소비자포털, e-금융교육센터의 금융감독원 ‘반짝반짝 은빛노후를 위한 금융가이드 영상(12)’, 저축은행중앙회 ‘저축의 모든 것’, 금융위원회 ‘사회초년생이 알아야 할 저축의 기초’를 참고했습니다. 이 콘텐츠의 지식 재산권은 KB국민은행에 있으므로 사전 서면 동의 없이 어떠한 형태로든 무단 복제, 배포, 전송, 대여가 금지됩니다.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