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화. 한국 경기국면 분석과 시사점

2023년 1월 13일 경제 이슈 분석
시리즈 총 4화
2023.01.13

읽는시간 4

0

최근 경기 모멘텀 약화로 향후 경기둔화 정도와 경기흐름 등을 판단할 필요

  • 최근 경기는 대외수요 위축과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 여파 등으로 둔화되는 모습
    *對중국 및 주요품목 수출부진 등의 영향으로 수출은 2022년 10월부터 3개월 연속 전년동월대비 감소를 지속하며 성장 모멘텀 약화
    *한국은행 (한은), 기준금리를 2021년 8월부터 2023년 1월까지 300bp 인상
  • 인플레이션은 한은의 정책금리 인상과 경기둔화 여파 등으로 상승 압력 약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22년 7월 전년동월대비 6.3%로 고점을 지난 이후 11월과 12월에는 5.0%로 하락
  • 수출과 민간소비 부진이 지속되며, 향후 경기도 둔화된 흐름 보일 것으로 전망

현재 경기는 고점을 지나 이미 수축국면에 진입한 것으로 평가

  • 최근까지 경기는 코로나 위기인 2020년 5월 저점 (동향지수 순환변동치 96.8pt)에서 2022년 10월 고점 (102.4pt)까지 확장국면에 위치
    *2022년 인플레이션에 따른 실질구매력 약화 및 금리 상승 여파가 가시화됨에 따라 2022년 11월 (101.7pt)부터 하락, 수축국면에 진입
  • 재고-출하 순환도로 평가한 경기도 지난 11월부터 수축국면에 위치
    *전월대비 재고지수는 6.2% 상승한 반면, 출하지수는 3.8% 하락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로 본 한국의 경기순환

'한은 기준금리 인하'는 경기가 장기추세를 하회하는 2024년 상반기 예상.

향후 경기흐름은 ‘카드사태’ 때와 가장 유사, 2025년 초에 저점 도달 예상

  • 향후 경기흐름은 2003년 카드사태 발생 이후 제8순환기의 수축국면과 유사
    *향후 경기흐름 평가는 장기추세를 제거한 GDP 전망자료를 사용, 2022년 3분기 이후 GDP 전망치와 이전 경기순환기 때의 GDP 실적치를 비교
  • 향후 경기는 ‘얕고 긴’ 수축국면을 예상, 2024년 4월에 장기추세 (100pt)에 근접한 이후, 2025년 1월에는 경기 저점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
  • 통계청의 경기 선행지수는 최근 금융환경 급변 등의 영향으로 동행지수에 대한 선행성이 약화, 즉 향후 경기흐름에 대한 예측력이 약화된 것으로 평가

향후 경기흐름: 2024년 4월에 장기추세 근접

향후 경기흐름은 2003년 카드사태 발생 이후 제8순환기의 수축국면과 유사. 2025년 초에 저점 도달 예상.

한은 기준금리 인하는 경기 저점 이전인 2024년 4월 전후일 가능성이 유력

  • 한은은 2000년 이후 총 5번의 수축국면에서 동행지수가 장기추세 (100pt)를 하회하는 시기에 기준금리를 인하 (긴축에서 완화 기조로 전환)
  • 앞으로의 경기순환이 ‘카드사태’가 있었던 제8순환기 수축국면 때와 유사할 시,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2024년 4월에 장기추세 (100pt)에 근접할 것으로 예상
  • 따라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도 2024년 4월을 전후로 인하될 전망이나, 향후 경제여건 변화 등에 따라 기준금리 인하 시점도 지연되거나 앞당겨질 수 있음
    *변수1: 고물가와 연준 긴축기조 지속 시, 기준금리 인하 시점이 지연될 가능성
    *변수2: 국내 경기침체가 심화할 경우에는 기준금리의 조기 인하를 예상

본 자료는 경제 및 금융 여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정보제공 목적으로 작성, 배포되는 조사분석 자료이며 오직 “정보제공”만을 목적으로 합니다. 따라서 KB국민은행 이외의 독자 혹은 고객의 투자 상담이나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와 관련된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으며, 고객의 최종적인 투자 결정은 고객의 판단 및 책임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또한, 본 자료에서 제시된 어떠한 예측이나 전망도 실현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당행 직원은 투자 권유 또는 투자 관련 고객 상담 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및 당행 규정 업무 프로세스를 준수할 의무가 있습니다. 또한, 본 자료의 지적 재산권은 KB국민은행에 있으므로 당행의 사전 동의 없이 본 자료의 무단 배포 및 복제는 금지됩니다.

이민혁

KB국민은행 이코노미스트

한국 경제에 대한 심도 깊은 분석결과와 최근 경제 이슈 정보를 빠르게 전달합니다.

이민혁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