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기] KB주택시장 리뷰 2025년 3월호

시리즈 총 7화
2025.03.14

읽는시간 4

0

요약

◦ 수도권 매매가격 하락세는 주춤한 가운데 서울의 가격 상승세 지속

  • 수도권 매매가격은 경기(-0.09%)·인천(-0.07%)의 하락세가 다소 주춤하며 서울(+0.10%)은 상승세 지속. 2월 중순 서울의 토지거래허가구역 일부가 해제(강남구 삼성·대치·청담동, 송파구 잠실)되면서 해당지역 가격 상승세 지속(강남구 +0.40%, 송파구 +0.37%)
  • 비수도권은 매매가격 하락세가 확대되고 매매 거래량, 매매가격전망지수, 매수우위지수 등 주요 지표도 여전히 저조

◦ [매매시장] 매매가격은 서울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 하락, 매수 심리 위축으로 매매 거래량도 감소

  • (매매가격) 2월 전국 주택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0.10% 하락하며 3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임
    - 서울(+0.10%)의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수도권(-0.02%)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하락폭 축소
    - 비수도권(5개광역시 -0.21%, 기타지방 -0.16%)은 매수 심리 위축이 지속되면서 전월 대비 하락폭 확대
  • (매매 거래) 1월 전국 주택 매매 거래량은 3만 8,322건으로 전월 대비 16.5% 감소
    - 수도권(-11.8%)과 비수도권(-20.3%) 모두 감소하였으며, 2024년 하반기부터 주택거래시장이 위축되면서 전월비 기준 11월 이후 3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임
    - 1월 전국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2만 9,784건으로 전월 대비 13.3% 감소(수도권-5.6%, 비수도권-18.6%)

◦ [전세시장] 전국 주택 전세가격은 18개월 만에 하락 전환되고, 전월세 거래량도 감소

  • (전세가격) 2월 전국 주택 전세가격은 전월 대비 0.01% 하락하여 2023년 8월 이후 18개월 만에 하락 전환
    - 수도권(+0.05%)은 아파트 전세 수요가 지속되면서 가격 상승세를 이어감
    - 비수도권은 하락폭(5개광역시 -0.06%, 기타지방 -0.07%)이 확대되었으며, 그 여파로 전국 전세가격은 하락 전환
  • (전월세 거래) 1월 전국 주택 전월세 거래량은 20만 건으로 전월 대비 7.9% 감소
    - 전체 전월세 거래량은 감소하였으며, 비아파트는 전세보증금 미반환 우려로 월세 선호도가 지속되면서 월세 거래 비중이 73.7%로 5년 평균 대비 21.1%p 상승

◦ [주택 분양] 분양시장 위축으로 분양물량은 감소하고, 미분양물량은 증가

  • 2월 전국 아파트 분양물량은 약 8천 호로 전월 대비 18% 감소하며 2개월 연속 1만 호를 하회
  • 1월 전국 아파트 미분양물량은 전월 대비 2,451호 증가. 특히 경기 지역은 2개월 연속 2천 호 이상 늘어남

◦ [주택금융] 주택담보대출은 전월 대비 3.5조 원 증가, 전세자금대출은 최근 3년내 최대 증가액 기록

  •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취급 재개, 이사철 자금 수요 증가로 2월 주택담보대출은 전월 대비 3.5조 원 증가(’24.2월 4.7조원). 전세자금대출은 전월 대비 1.2조 원 증가하며 2022년 2월(+1.4조 원) 이후 3년 만에 최대치 기록
  • 1월 예금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신규 취급액 기준)는 4.27%로 전월 대비 상승(+0.02%p)하였으나, 2월부터 금리인하 영향이 가시화될 전망
부동산연구팀

KB경영연구소

부동산연구팀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