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용어사전

어려운 금융 용어의 뜻을 확인해보세요.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딥시크 R1

DeepSeek-R1

중국 인공지능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2025년 1월 20일에 출시한 고성능 추론 인공지능 모델(Inference Model)이다. 이 모델은 효율적인 연산과 실시간 응답 성능 극대화를 목표로 설계되었으며, 기존 대규모 생성형 AI 모델 대비 빠르고 정확한 답변 제공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딥시크는 R1 개발에 약 557만 6천 달러(약 80억 원)를 투입했으며, 이는 메타(Meta)가 AI 모델 개발에 투자한 비용의 약 10% 수준이다. 또한, 엔비디아의 H800 GPU 약 2,048개를 활용하여 개발되었으며, 이는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도 고성능 AI 모델을 구현할 수 있음을 보여준 사례로 평가된다.

출시 직후 R1 기반 챗봇 애플리케이션은 미국 애플 앱스토어 다운로드 순위 1위를 기록하며 화제가 되었다. 또한, 아마존 웹 서비스(AWS)의 아마존 베드록(Amazon Bedrock) 및 아마존 세이지메이커(Amazon SageMaker)를 통해 제공되어 기업들이 R1을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현재 R1은 기업용 애플리케이션, 실시간 챗봇, 검색 엔진 강화 등의 용도로 사용되며, 의료, 금융,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 가능성이 높게 평가된다. 그러나 데이터 편향성과 일부 특정 분야에서의 한계가 지적되고 있어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딥시크(DeepSeek)-R1은 개인정보 유출 우려로 인해 여러 국가에서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2025년 2월, 한국의 산업통상자원부, 외교부, 국방부 등 주요 정부 부처는 딥시크에 대한 접속을 일시적으로 차단했다. 또한, 한국수력원자력과 한전KPS 등 공공기관과 카카오, 라인야후 등 IT 기업들도 사내에서 딥시크 사용을 금지했다.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실질실효환율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실질실효환율(Real Effective Exchange Rate, REER)은 한 나라의 화폐가 주요 교역상대국의 화폐 대비 실질적으로 어느 정도의 구매력을 갖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환율이다. 이는 단순한 환율 변동뿐만 아니라 국가 간 물가 수준 차이까지 고려하여 조정되며, 한 나라의 통화가 실질적으로 어느 정도의 가격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는지 평가하는 데 활용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환율은 명목환율(Nominal Exchange Rate)로, 이는 외환시장 내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되는 두 통화 간의 상대가치를 의미한다.

그러나 명목환율은 개별 통화 간 비교만 가능할 뿐, 주요 교역상대국 전체 대비 한 나라 통화의 가치 변동을 반영하지 못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주요 교역국의 통화 대비 원화 가치의 변동을 무역 비중 등 적절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산출한 지표가 명목실효환율(Nominal Effective Exchange Rate, NEER)이다.

한편, 한 나라의 대외 통화 가치는 명목환율뿐만 아니라 국가 간 물가 상승률 차이에 의해서도 변할 수 있다.

이를 반영하여 계산한 환율이 실질환율(Real Exchange Rate)이다. 실질실효환율(REER)은 명목실효환율과 실질환율의 개념을 통합한 지표로, 명목실효환율을 자국과 교역 상대국 간의 가중 상대물가지수로 나누어 산출한다.

실질실효환율지수가 100 이상이면 기준시점 대비 주요 교역상대국통화에 대한 자국통화의 고평가, 100 이하이면 저평가를 나타낸다.

이 지표는 국제 경쟁력 분석이나 환율정책 수립 등에 중요한 참고 자료로 활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