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기] 2025 KB골든라이프 보고서

한국인의 노후준비와 집의 의미
25.09.28
읽는시간 0

작게

보통

크게

0

Infographic

노후생활 행복 요소 압도적 1위는 '건강', 2위는 '경제력'임을 보이는 도넛 그래프이다.

'노후 준비가 잘 되어있다'는 응답자는 19.1%에 불과, 경제적 준비가 가장 미흡함을 보여주는 그래프들이다.

예상하는 노후 이미지는 '편안하고' '즐겁게', 노후생활은 '여가'와 '일'을 균형 있게를 보여주는 막대 그래프이다.

'실제' 은퇴 시기는 '희망'보다 9년 빠르고, 48세가 돼서야 경제적 노후 준비를 시작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노후의 '적정생활비'는 월 350만 원, 이중 도달 가능한 금액은 65.7% 수준임을 보이는 그래프이다.

'노후'에 매월 조달 가능한 생활비 중 60% 이상을 각종 연금으로 마련할 계획임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은퇴가 기대'되는 글로벌 vs. '은퇴는 아직 먼 얘기'인 한국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한국은 '노후 사회적 고립 불안'이 더 크고, 가족 부양 시 생활·금전 동시 지원을 예상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32.3%는 노후자금으로 '주택연금' 활용 의향, 예상 가입 나이는 평균 66세임을 보이는 그래프이다.

10명 중 6명은 '주택 다운사이징'을 고려, 이중 48.1%는 '70대' 실행을 계획임을 보이는 그래프이다.

80.4%가 '에이징 인 플레이스'에 동의, '동네'에 대한 물리적 범위는 '도보 30분 이내'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노후에 선호하는 동네 인프라 조건은 '의료시설', '교통', '공원·자연환경', '쇼핑시설'임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