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분 |
CBDC |
스테이블코인 |
| 발행 주체 |
중앙은행 |
민간 기업 |
| 신뢰 기반 |
중앙은행 지급 보증·감독
|
민간 기업의 준비자산 투명성·건전성
|
| 통제, 감독 |
국가 직접 통제·규제
|
민간
자율 운영
|
주요
사례
|
디지털
위안화(e-CNY)
|
USDT, USDC, USDS
|
*출처: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나라경제
CBDC와 스테이블코인을 구분하는 가장 근본적인 차이는 바로 '발행 주체'예요. CBDC는 중앙은행이 직접 발행하고 보증하는 디지털화폐인데요. 지폐나 동전처럼 중앙은행에서 관리 및 감독하기 때문에 나라에서 보증하는 법정통화와 같은 지위를 가져요. 따라서 CBDC는 정부와 중앙은행에 대한 신용을 바탕으로 사용해요.
반면 스테이블코인은 테더(Tether), 서클(Circle)과 같은 민간 기업 또는 블록체인 프로젝트가 발행하고 운영하는 사설 디지털화폐예요. 스테이블코인은 그 자체로 법정 통화가 아니며, 가치를 안정시키기 위해 달러, 유로 등 특정 법정 화폐나 금 같은 실물자산에 그 가치를 1:1로 페깅(Pegging)*해요.
*페깅: ‘1코인=1달러’처럼 특정 자산의 가치를 기준으로 스테이블코인의 가치를 고정한다는 뜻
예를 들어, 달러에 연동된 스테이블코인 USDC 1개는 항상 1달러의 가치를 갖도록 만들어져 있어요. 그래서 발행사는 사용자가 지급한 금액만큼 실제 달러나 미국 국채를 갖고 있어야 하죠. 이런 구조 덕분에 스테이블코인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고, 사용자는 이 안정성을 믿고 스테이블코인을 사용해요. 즉, CBDC는 ‘중앙은행 기반 디지털화폐’, 스테이블코인은 ‘민간 기업 기반 디지털화폐’라고 볼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