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지수 작가
경제 교육 기업 래빗스쿨을 창업해 실천 중심의 경제 교육을 전하고 있으며, 『나의 꿈 부자 할머니』 등 여러 경제서를 집필했다. 현재는 'KB의 생각'에서 청소년을 위한 경제 콘텐츠도 함께 전하고 있다.
작게
보통
크게
목차
📚 박지수 작가
경제 교육 기업 래빗스쿨을 창업해 실천 중심의 경제 교육을 전하고 있으며, 『나의 꿈 부자 할머니』 등 여러 경제서를 집필했다. 현재는 'KB의 생각'에서 청소년을 위한 경제 콘텐츠도 함께 전하고 있다.
어느덧 2025년이 저물어가고 있어요. 12월은 한 해를 돌아보고 새로운 계획을 세우는 시기입니다. 여러분의 2025년은 어땠나요? 계획대로 술술 흘러간 순간도 있었겠지만, 예상치 못한 변수로 당황했던 적도 있었을 거예요.
돈도 삶의 큰 부분을 차지하다 보니, 작은 변화에도 마음이 흔들릴 때가 많아요. 그래서 내년을 더 단단하게 맞이하려면, 올해 내가 어떻게 벌고 쓰고 모으고 굴려왔는지를 차분히 돌아볼 시간이 꼭 필요해요. 이제 차분히 올해를 돌아보고, '2026년 머니 플랜'을 어떻게 세우면 좋을지 함께 살펴볼게요.
2025 소득 리뷰
AI 시대가 바꾼 나의 일과 소득 흐름
2025년에는 여러 변화가 있었던 만큼, 단순히 얼마를 벌었는지 보다 앞으로 얼마나 더 벌 수 있는지를 점검해야 했던 해였어요. 산업 전반에서 AI 확산이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되면서 본업과 부업 모두에서 AI 시대에 나의 역할과 경쟁력을 다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었죠.
본업에서는 자동화가 빨라지며 여러 직군에서 업무의 약 20%가 AI로 대체될 수 있다는 불안감이 퍼졌어요. 그래서 어떤 분들은 기존 자격증 공부 대신 AI 도구 활용법을 익혔고, 또 어떤 분들은 창의성·공감 능력처럼 인간만의 강점을 키우며 새로운 역할을 만들어 갔어요.
부업에서도 흐름은 비슷했어요. AI를 도구로 활용해 본업의 효율을 높이고, 자신의 취향과 경험을 담아 차별화된 부수입을 만들려는 시도가 많아졌죠. 여러분도 이런 변화를 체감하셨을 거예요. AI 기반 콘텐츠가 빠르게 늘어나며 경쟁이 치열해졌지만, 그럴수록 사람의 개성이 담긴 작업이 더 높은 가치를 인정받는 모습이었어요.
2025 소비 리뷰
고물가·고환율 시대, 내 소비는 괜찮았을까?
외부 변수가 불안하다고 해서 “지금 안 사면 더 비싸지겠지” 같은 조급함에 소비가 흔들린 적은 없었는지 점검해 보세요.
기분 전환이나 스트레스로 쓰는 지출보다, 일상에 꼭 필요한 소비를 우선했는지 돌아보세요.
환율 영향을 크게 받는 품목을 평소처럼 구매해 지출이 예상보다 커지진 않았는지 확인해 보세요.
생활비가 올랐다는 이유로 미래를 위한 저축·투자 흐름을 끊지 않았는지 점검해 보세요.
2025 저축과 투자 리뷰
변동성의 한 해, 투자 원칙은 지켜졌을까?
2025년에는 AI 반도체, 양자 컴퓨팅, 전력, 조선 등 특정 테마가 유독 과열되었죠. 순간 급등에 휩쓸려 진입했다가 빠르게 조정을 맞은 경우도 있었어요. 중요한 건 이번에 벌었는지 잃었는지가 아니라, 그 과정에서 나의 투자 원칙이 흔들렸는지를 돌아보는 일이었어요. 많은 분들이 올해를 지나며 결국 테마가 아니라 기업의 실적과 안정적인 자산 배분이 더 중요하다는 사실을 다시 확인했어요.
2025년의 높은 변동성은 단기 계좌보다 연금 같은 장기 계좌의 힘이 얼마나 큰지를 보여줬어요. 매달 적립식으로 쌓아 온 적금과 연금, ETF의 절세 효과, 자동투자의 규칙성은 시장이 흔들릴 때도 자산을 지켜주는 가장 든든한 기반이었어요.
2026년 머니 플랜 월별 실천 가이드
2026년을 슬기롭게 보내기 위한 '12개월 머니 플랜 가이드'예요. 거창하게 계획을 세우려고 하면 오히려 어려워지지만, 달마다 ‘작은 기준’을 하나씩 정해두면 삶이 훨씬 가벼워져요.
📅 💡 🌟
2025년은 글로벌 경기 둔화, 불안한 통상 환경, 금리 변동성 등이 겹치며 누구에게나 쉽지 않은 한 해였어요. 그럼에도 여러분은 흔들리는 시장 속에서 절약·저축·투자라는 기본기를 꾸준히 지켜내며, 자신만의 금융 기반을 한층 더 단단하게 쌓아 올리셨을 거예요. 변화가 빠른 시대일수록 기본에 충실한 금융 습관이 결국 가장 큰 자산이 된다는 사실을 잊지 마세요.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